2022년 제59회 세무사 1차시험이 2주 남았습니다.
세무사준비생 여러분들 시험 전 마지막 2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는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무사 1차시험 시간표와 준비물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제59회 세무사시험에는 최소 700명 이상의 합격자가 배출됩니다.
전년도와 동일하게 700명이상 합격자가 배출됩니다.
1차시험은 절대평가로 각 과목의 점수가 40점이상이며 평균점수가 60점이상이면 됩니다.
1차시험은 절대평가이고 고득점을 요하지 않으니 전략을 잘 짜셔서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저 역시 지난해에 세무사 시험에 응시했었고 1차시험 커트라인을 넘겼습니다.
아래 사진은 세무사 시험과목과 시험시간표입니다. 참고하세요.
제가 작년에 1차시험을 봤을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tip과 준비물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말문제를 먼저 풀고 그 후에 계산문제를 풀었습니다.
문제가 동일한 배점이기 때문에 보다 쉬운 말문제를 먼저 푸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또한 2교시의 경우에는 선택과목으로 상법을 응시했었는데, 상법을 20분안에 다 풀고
회계에 시간을 투자하자는 전략으로 시험에 응시했습니다!
저는 세무사시험에 응시할 때 혹시 모를 자리배치에 대비해서 캡모자를 준비해갔습니다.
맨앞자리에 배치가 되거나 주변에 다리를 떠는 분이 계실 수 있기 때문에 준비를 했습니다~
마침 제가 교탁 바로 앞에 자리가 배치가 되어서 감독관에게 부정행위가 아니라는 눈빛을 보낸 후 모자를 쓰고 시험을 봤습니다.
예민하신 분들 모자 챙기는 것 정말 유용한 tip입니다.
계산기, 수험표, 신분증, 컴퓨터용펜, 수정테이프, 펜, 손목시계는 미리 챙겨두시길 바랍니다.
1차시험은 점심식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당이 부족할 때 먹을 간식도 챙겨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덴탈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장시간 집중하다보면 kf94 마스크는 조금 답답할겁니다.
아!! 연습지는 나눠줍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저는 연습지를 사용할 시간이 없어 집에 가져가 기념품으로 간직하고 있답니다.
또 귀마개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산기 소리에 민감하신 분들 많으실거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시험봤을 때에는 감독관께서 부정행위 아닌지 확인 하신 후에 귀마개 착용을 허용해주셨습니다.
물론 감독관 스타일에 따라 귀마개가 안될 수 있고 스톱워치도 안될 수 있지만 혹시 모르니 대비합시다.
정리를 하면 계산기, 수험표, 신분증, 컴퓨터용펜, 수정테이프, 펜, 간식, 귀마개, 시계, 덴탈마스크, 모자를 필수적으로 챙기세요.
세무사자격시험에 모두 좋은 결과있길 바랍니다.
가채점할 때의 기쁨을 많은 분들이 느끼시길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참고>
세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국세청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세무사 자격시험에 합격을 해야합니다. 세무사 시험은 총 2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차시험에는 재정학, 세법학개론과 상법/민법/행정소송법 중 선택한 1개의 과목 그리고 회계학개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객관식으로 평가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성적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2차시험에서는 회계학1,2부와 세법학 1,2부를 논술형으로 평가합니다.
세무사란 납세자의 위임에 의하여 조세에 대한 신고/신청/청구(이의신청, 심사청구, 심판청구)등의
대리, 세무조정계산서 기타 세무관련 서류의 작성, 조세에 관한 상담 또는 자문을 하는 자를 말합니다.
기장, 조세불복, 조세에 관한 자문, 조세에 관한 신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세무사시험에 합격을 하게 된다면 수습 6개월 과정을 일반적으로 거칩니다.
개업을 할 예정이라면 수습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개업이 목적이 아니라면 수습 세무사 과정은
필수가 아닙니다. 세무사 수습처는 직접 찾아보셔야 합니다.
6개월 간의 실무수습이 끝나면 한국세무사회에 등록하면 공식적인 세무사로 활동하실 수 있습니다.
세무법인, 세무공무원, 공기업, 일반기업, 회계법인, 법무법인, 금융기관, 개인사무소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하실 수 있습니다.
'슬기로운 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워두면 도움되는 비즈니스 매너 1탄 (악수매너, 명함매너) (0) | 2022.11.16 |
---|---|
헷갈리는 엑셀정리 (숫자와 회계, 여러시트 인쇄, 함수완성) (0) | 2022.07.20 |
해외금융계좌신고의무(국조법) (0) | 2022.06.02 |
흑자부도의 의미와 현금흐름 관리의 중요성 (0) | 2022.05.30 |
국세완납증명서 발급하는 방법 (+지방세완납증명서) (0) | 2022.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