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사랑하는 미술★5

초현실주의 미술 (데페이즈망, 자동기술법, 프로타주) 초현실주의 미술의 특징 초현실주의는 영어로 Surrealism이라고 합니다. realism을 넘어선 것을 뜻합니다. 초현실주의라는 말은 프랑스 문인 귀욤 아폴리네르가 처음 사용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했고 현실이상을 추구한 미술흐름이 바로 초현실주의입니다.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주로 1920년-30년정도에 활동을 했으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습니다. 프로이트의 자유연상법과 꿈의 분석에 바탕을 두고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미드나잇 인 파리 영화를 보셨나요? 그 영화에 등장인물로 살바도르 달리가 나옵니다. 영화만 봐도 살바도르 달리가 굉장히 독특하다고 느끼신 분 많으실 것입니다. 살바도르 달리가 바로 무의식을 탐구한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2022. 6. 14.
원조 막장드라마의 주인공, 프리다 칼로 원조막장드라마 주인공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의 만남 최근에 '프리다' 라는 뮤지컬을 보셨나요? 아니면 멕시코 화폐에 그려진 프리다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멕시코 화폐 500페소를 보면 앞면에는 디에고 리베라가 그려져있고 뒷면에는 프리다 칼로가 그려져 있습니다. 지폐에 들어있다는 것은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얼마나 멕시코 국민들이 프리다를 사랑하는지 알 수가 있죠 :D 프리다 칼로는 어렸을 때 소아마비로 오른다리가 불편했습니다. 평생을 병고에 시달렸고 프리다가 죽기 전까지 오른발은 프리다를 괴롭힙니다. 프리다를 힘들게 한 것은 소아마비에 의해 불편한 다리만이 아니었습니다. 프리다가 열여덟살 때 그녀가 탄 버스가 경전철과 충돌을 합니다. 충돌사고로 골반이 세동강이 나며 임신이 어렵다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2022. 6. 14.
19세기 말 아르누보와 베토벤프리즈 19세기말 총체예술과 예술에 일치된 삶을 추구했던 미술흐름, 아르누보 아르누보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럼 유겐트슈틸은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럼 분리파(Sezession)라고 들어보셨나요? 아르누보, 유겐트슈틸, 분리파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프랑스에서는 아르누보라고 불렀으며 독일에서는 유겐트슈틸, 오스트리아에서는 분리파라고 불렀답니다. 1890년부터 1910년까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나타는 국제적 미술 흐름을 아르누보라고 합니다. Nouveau란 '새로운' 이라는 뜻입니다. 즉, 아르누보(Art Nouveau)는 '새로운 예술' 이라는 뜻입니다. 19세기에는 산업화를 통해 유럽인들의 생활양식에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 화가들은 산업화로 인해 대량생산되는 것이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으며 .. 2022. 6. 6.
네덜란드 튤립버블과 바니타스 정물화에 대해서 네덜란드를 떠올리면 풍차와 튤립이 제일 먼저 떠오릅니다. 풍차와 튤립의 나라 네덜란드의 17세기에는 어떤 사건이 벌어졌을까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벌어진 투기현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투기현상의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 정물화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네덜란드의 황금시대와 네덜란드 튤립버블 네덜란드에서 투기현상이 발생했는지 배경을 알아야합니다.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플랑드르 지역에서는 큰 폭풍이 일어납니다. 스페인 제국의 합스부르크 왕가의 개신교 탄압과 과중한 세금정책이 원인이 되어 네덜란드 독립전쟁이 벌어지게 됩니다. 결국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네덜란드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합니다. 이 독립전쟁 기간 동안에 종교적 박해를 받던 유대인들과 신교도들이 막대한 자금을 들고 네덜란드 암.. 2022.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