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신욕 효과 및 효능
안녕하세요 :)
요즘 코로나로 인해 사우나에 못가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올바른 반신욕 방법을 확인하셔서 반신욕의 효과를 누려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신욕은 몸 전체를 담그는 전신욕과 달리 몸의 반만 물에 담그는 건강목욕법입니다.
전신욕을 하지않고 반신욕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상체의 체온이 하체의 체온보다 대부분 높다고 합니다.
반신욕을 하게되면 하체가 상체보다 따뜻해지게 되어 상체와 하체 사이에 대류현상이 발생합니다.
대류현상으로 상하체 간의 체온이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즉, 반신욕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상체는 차갑게 유지하고 하체는 따뜻하게 해야합니다.
하체만 따뜻하게 하여 체온이 밸런스를 이루게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반신욕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체의 혈액순환으로 다리의 붓기가 가라앉고,
무거운 다리를 가볍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는 것 뿐만아니라 노폐물 배출에도 매우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몸이 따뜻해지며 모공이 넓어지고 넓어진 모공으로 땀과 노폐물이 배출됩니다.
노폐물과 피지를 배출하여 피부가 매끈해지고 건강해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근육을 이완시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뿐아니라 뇌로 가는 혈액이 증가하여 편안한 정신상태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당연히 수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정리를 해보면 체온의 균형, 신진대사 촉진, 혈액순환, 부종제거, 노폐물 배출, 피부미용, 피로해소, 수면에 도움 등이 반신욕의 효능 및 효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신욕은 다양한 효능이 있지만 주의사항도 있답니다~
반신욕 방법 및 주의사항
반신욕의 원리를 고려하여 상체는 시원하게 유지해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상체를 시원하게 하기위해 사우나 가운 등을 입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욕조 물은 배꼽까지 채워주세요~
배꼽보다 밑으로 물을 채우면 반신욕 효과는 떨어집니다.
배꼽 위로 반신욕을 하면 심박수와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배꼽을 기준으로 반신욕을 시작해보시고
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물양을 살짝 조절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반신욕 효과를 위해 명치 위쪽은 물에 담그지 마세요!
또한,
체온이 36.5도이므로 38도에서 40도 사이의 물온도에서 반신욕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심장에 무리가지 않는 따뜻한 온도로 반신욕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신욕 적정시간 20~30분입니다.
반신욕을 하는 동안에 물 온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온도유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신욕 덮개를 사용하시면 물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상체는 시원하게 하체는 따뜻하게' 해주세요.
반신욕을 하면 땀을 흘리기 때문에 수분을 충분히 섭취를 해주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반신욕은 일주일에 2~3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반신욕이 끝난 후에 급하게 일어나면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신욕을 하면 모공이 확장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반신욕 후에는 피부에 크림 등을 발라주세요.
반신욕 후에도 상체는 얇은 옷을 하체는 따뜻한 옷과 양말 착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참고적으로 심장실환보유자는 반신욕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신욕은 심장병 환자에게 심장의 기능을 증진시켜주는 효과가 있기도 합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올바른 반신욕을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분, 요로감염환자 등도 반신욕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주 후에 반신욕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사실 반신욕을 그냥하면 조금 심심한 것 같습니다~
반신욕은 개인적으로 입욕제와 함께했을 때 더욱 좋은 것 같습니다.
또는 반신욕트레이를 활용해서 독서나 영화를 보는 것도 힐링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신욕의 효과, 반신욕을 하는 방법, 반신욕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오늘 반신욕을 통해 몸의 긴장을 완화해보고 피로를 풀어보시는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반신욕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짜잘짜잘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알아야 하는 청약 (청약가점, 청약가산점, 가점제) (0) | 2023.04.22 |
---|---|
꼭 알아야 하는 청약 ( 민영주택 청약자격, 청약조건, 1순위, 청약홈) (0) | 2023.04.22 |
국가별 생일축하노래와 사랑해 표현 (영어, 스페인어, 불어, 중국어) (0) | 2022.08.09 |
귀부와인(Noble Rot)과 샤또디켐 (0) | 2022.07.04 |
서울 맛집 리스트 1탄 - 고도식, 당산빨간쭈꾸미, 경양카츠 (0) | 2022.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