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직장생활

리플리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 쿠바드 증후군, 스톡홀름 증후군, 파랑새 증후군

by 써니K 2023. 9. 27.
반응형

 

1.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리플리 증후군이란

허구의 세계를 진실로 믿으며

거짓된 말과 행동을 일삼는 인격 장애를 말합니다. 

자신이 한 거짓된 언행을 진실로 믿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은 1955년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런 리플리 증후군이 나오는 영화가 꽤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맷 데이먼과 주드 로가 출연하는

'리플리'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영화 '리플리'에서 리플리는 재벌친구

디키 그린리프를 흉내내며 대담하게 거짓말과 행동을 합니다.

자신이 디키라고 믿고 행동하는 것 입니다. 

 

2 뮌하우젠 증후군 ( Münchausen Syndrome)

자신의 상황을 과장하고 부풀려서 

타인의 사랑이과 관심을 유발하는 행동입니다.

타인의 관심을 받기 위해

심한 경우에는 자해를 하기도 하며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타인의 관심을 받는 것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리플리 증후군과 뮌하우젠 증후군 모두 허언증과 연관되어 있으나

뮌하우젠 증후군은 특히 타인의 관심을 받고자 노력하는 신드롬입니다. 

 

18C '허풍선이 뮌하우젠 백작의 놀라운 모함'이라는 소설에서 유래된 신드롬입니다.

어린시절 심리적인 트라우마 등이 뮌하우젠 증후군의 원인입니다. 

 

 

3. 쿠바드 증후군(Couvade Syndrome)

'쿠바드'라는 용어는 '알을 낳다'라는 뜻의 불어인

'couver'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내가 임신했을 경우에 남편도 함께

입덧, 메스꺼움, 체중증가 등의 육체적 증상과

감정기복, 무기력함 등의 심리적 증상을 겪는 현상입니다.

심지어 아내와 함께 출산고통을 함께 느끼기도 합니다.

 

이러한 쿠바드 증후군은 모계사회 등에서 흔하게 일어납니다 .

남편도 인정받으려는 욕구, 책임감 등으로 인해

쿠바드 증후군이 나타나게 되는 것 입니다. 

또는 임신한 아내가 분비하는 페로몬이

남편의 뇌에도 변화를 가져온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4. 스톡홀름 증후군 (Stockholm Syndrome)

 

스톡홀름 증후군은 공포가 느껴지는 상황에서

공포를 유발한 대상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범죄심리학 용어로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화되는 비이성적인 현상을 의미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일어난

인질강도사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당시 폐쇄된 공간에서 4명의 인질들은

처음에는 강도들에 겁을 먹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강도들을 지지하고 협력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과 반대현상은 '리마(Lima)' 증후군입니다. 

리마증후군은 범인이 인질에게 동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5. 파랑새 증후군 (Bluebird Syndrome)

 

파랑새 증후군은 현재의 일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미래의 막연한 행복만을 추구하는 현상입니다. 

 

파랑새 증후군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병적 현상입니다.

특히 현대 직장인을 빗대어 표현할 때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자신이 생각한 직장생활과는 다른 현실을 마주할 때 괴리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직에 대한 꿈을 꾸는 것입니다. 

 

'파랑새' 라는 소설은 대부분 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파랑새를 찾아 멀리 떠났던 남매가 

결국은 파랑새를 찾지 못합니다.

꿈 속 여행을 끝난 남매는 집 안 새장에 파랑새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행복은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소설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