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사랑하는 미술★

초현실주의 미술 (데페이즈망, 자동기술법, 프로타주)

by 써니K 2022. 6. 14.
반응형

살바도르 달리

초현실주의 미술의 특징

초현실주의는 영어로 Surrealism이라고 합니다.

realism을 넘어선 것을 뜻합니다.

초현실주의라는 말은 프랑스 문인 귀욤 아폴리네르가 처음 사용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했고 현실이상을 추구한 미술흐름이 바로 초현실주의입니다.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주로 1920년-30년정도에 활동을 했으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습니다.

프로이트의 자유연상법과 꿈의 분석에 바탕을 두고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미드나잇 인 파리 영화를 보셨나요?

그 영화에 등장인물로 살바도르 달리가 나옵니다.

영화만 봐도 살바도르 달리가 굉장히 독특하다고 느끼신 분 많으실 것입니다.

살바도르 달리가 바로 무의식을 탐구한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화가입니다.

살바도르 달리의 <기억의 영속> 이라는 작품을 보면 현실에서 볼 수 있지만

현실의 것이 아닌 것 같은 물체를 그려놨습니다.

예를 들어 시계는 본래 단단한데 작품에서는 흐물흐물하게 표현했습니다.

달리의 독특한 세계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없는 세계를 나타했으며 시공간이 뒤섞인 비현실적인 세계를 그렸습니다.

현실이면에 무엇이 있는 것일까? 등을 인지하게 만듭니다.

 

또 다른 초현실주의 거장으로 르네 마그리트가 있습니다.

마그리트의 작품 <강간>을 감상하시면 익숙한 현실을 다른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현실이면의 가치를 찾아보게 합니다.

<강간>은 얼굴자리에 여성의 몸을 그리는 등 비현실적이고 다소 엉뚱한 작품으로 보입니다.

이를 '데페이즈망'이라고 합니다.

데페이즈망은 '자리를 바꾸다, 자리를 떠나다' 라는 의미로 일상적이고 상식적인 맥락에서

벗어나 대상을 이상하고 낯선 관계 속에 위치시키는 것을 말하는 용어입니다.

화가의 무의식적인 잠재의식을 표출한 것이지요.

각종 이미지의 조합 등을 통해 괴기스럽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창출합니다.

르네 마그리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콜공드>, <이미지의 배신>, <연인들>, <사람의 아들>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의 배신>이라는 작품 역시 유명한 작품입니다.

<이미지의 배신>이라는 작품을 보면 그림 파이프 그림 아래  '파이프 담배가 아닙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파이프 그림인데 파이프가 아니라니..?

이성이 있는 관람자에게 혼란을 줍니다. 마그리트는 이 작품을 파이프 이미지일뿐 담배로 피울 수 없다고 말합니다. 

 

마그리트 <연인들>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사용한 또 다른 기법은 '자동기술법'입니다.

자동기술법은 무의식 세계를 표현하고자 무념무상으로 그림을 그린 것 입니다.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흐름이 가능하도록 잠을 안자는 등 자신의 몸을 고통스럽게 했다고 합니다. 이성적, 논리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이학적 선입견 없이 행하는 진실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마송의 <오토메틱 드로잉>이라는 작품에서 자동기술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을 보면 작가가 무엇을 의도했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사용한 기법이 '프로타주(frottage)'입니다.

프로타주란 나무껍질, 동전 등 표면이 거친 물체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연필이나 분필로 문질러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문질러 표현하며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양을 만들어냅니다.

예측불가능하고 가늠할 수 없는 형상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기법이 '프로타주'입니다.

우연적 효과를 누리며 작가가 개입되지 않습니다.

막스 에른스트가 프로타주를 고안했습니다.

참고적으로 '그리타주'는 두텁게 색칠한 다음 그 표면을 긁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는 기법입니다.

프로타주와 그리타주 어렸을 적 미술시간에 많이 해보셨을 것입니다~

최근에 살바도르 달리와 르네 마그리트 전시회가 개최했는데 방문하지 못해서 아쉬움이 가득합니다.

지금까지 신비하고 몽환적이고 기괴한 미술 초현실주의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꿈의 세계에 관심을 가지며 무의식의 이미지를 표현한 초현실주의의 특징과

대표화가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